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반응형

경제학 학문21

(국부론)실질가격. 명목가격. 자연가격. 시장가격. 노동임금 모든 재화의 가치는 노동력의 가치이다. 그리고 그것은 화폐로 표현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 노동력의 가치가 화폐로 표현된 것은 많다. 전문업종에 종사하는 변호사의 수입은 노동의 진짜가격이라고 말을 한다. 오랜 시간 공부를 하여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변호사를 한다는 것은 노력한 대가(노동의 대가)를 실질가격으로 측정하여 화폐로 지불받고 있다. 국부론에서 얘기하는 노동의 실질가격과 명목가격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으로 제품의 가격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자 노동으로 표현된 가격. 화폐로 표현된 가격(실질가격. 명목 가격) "어떤 사람이 가진 물건의 가치는 그 물건으로 살 수 있는 타인의 노동량과 같다." 노동이 모든 물건의 교환 가치를 실질적으로 표현된 가격이다. 모든 것의 가치를 비교하고 측정하는.. 2023. 4. 2.
(국부론) 분업이 생기는 원리 와 결과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is referred to as ' Wealth of Nations' 영국의 학자 애덤 스미스가 영국의 공작 아들을 개인 과외하며 유럽 각지를 여행하고 1766년~1776년까지 10년간 커콜디에 위치한 자신의 서재에 파묻혀 지내며 쓴 책이다. 애덤 스미스는 철학자였으나 여행하는 기간 동안 경제학에 대한 관심과 식견을 가지게 되었다. 당시 유럽의 주요 국가의 상황을 살펴보면, 프랑스는 토지를 바탕으로 하는 중농주의를 채택하였고, 스페인은 신대륙 발견으로 식민지, 식민지로부터 빼앗은 금, 은 과 같은 보석을 무역하는 중상주의였다. 그리고 유럽에서 작은 나라로 이름이 없었던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 2023. 4. 2.
(국부론)시대적인 상황. 용어설명 시대적 상황 애담 스미스가 국부론을 발간한 시대의 유럽국가들의 각 나라별로 시대적인 상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았다. 영국은 시민혁명(1642년~1649년)을 거쳤지만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중상주의 시대였다. 그 배경은 엘리자베스 1세(1533년~1603년) 여왕은 프랜시스 드레이크(1540년~1596년)라는 해적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드레이크는 노예무역을 하다가 해적으로 변신한 인물로서 스페인 선박을 대상으로 노예, 금, 은을 약탈하였다. 이 중에서 금과 은은 영국 왕실로 보냈다. 이렇게 영국왕실로 보내진 금과 은으로 영국 왕실은 부를 축척하였고 영국이 부강한 나라로 변하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영국왕실은 드레이크를 귀족 작위의 직위를 내려줬다. 스페인은 아메리카 신대륙발견하여 그 땅을 식.. 2023. 4. 1.
영국 산업혁명의 경제학적 관점. 비경제적 관점 영국의 산업혁명은 국가가 부를 축적하는 방법, 기업이 기업을 성장시키는 방법, 노동자가 일을 하는 방법, 노동자가 공장에서 일하는 작업 포지션(Positon)이 바뀌었다. 그리고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게 만들었다. 기계의 발명은 또 다른 발명을 만들었다. 화폐의 규모도 무역을 하면서 대단위도 커졌다.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 두 가지로 나눠서 보면 다음과 같다. 경제학적 관점 1. 영국의 해외 무역은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었다. 영국은 원자재와 열대작물에서 추출하는 원료를 스스로 생산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영국이 원자재 수입을 하지 않았다면 생산량이 저조하여 소득 수준이 낮아졌을 것이다. 반대로 그 당시 영국은 농촌 인력이 불안정 고용 상태였다. 고용이 불안정한 사람들이 도시로 .. 2023. 3.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