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반응형

경제학 학문21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발생된 까닭은 무엇일까? 배경 유럽은 14세기 와 15세기에 급성 열성 전염병 '흑사병'이 유행했다. 흑사병은 당시 유럽인구의 60%가 감염되고 사망률은 50%에 이르렀다. 이때 영국에서도 많은 인구가 감소하였다. 인구 감소는 넓은 경작지가 목초지로 바뀌었고 버려진 토지가 되었다. 영국인들은 버려진 토지에서 양들을 키우기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목초를 먹으며 생활한 양들은 영양상태가 좋았기 때문에 양털이 풍성하게 자라는 장모종 양이 출현하게 되었다. 장모종은 신 직물인 소모사(굵기가 일정하고 매끈하며 보풀이 적으면서 광택이 나도록 양모로 만든 실)를 만들기에 적합했다. 또 시대적으로 영국은 원료 수출을 금지하고 완제품으로 수출하는 것을 장려하였다.'중상주의 정책 (mercantilism)' 이렇게 영국은 자연재해와 정부의 중상주의.. 2023. 3. 31.
영국의 산업혁명- GDP성장률이 저조했던 이유 와 결과 일부 학계에서는 영국의 GDP성장률이 미비한 수치로 나왔기 때문에 과연 산업혁명이 혁명적인 사건이었나에 대해 끊임없는 논쟁을 하고 있어서 이번시간에는 '산업혁명이 발생된 시점부터 산업혁명이 완료된 시점까지 GDP성장률이 저조했던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다. GDP성장률이 저조했던 이유 GDP성장률 : 산업혁명으로 영국은 경제대국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그런데 산업혁명이 시작된 시점부터 산업혁명이 완료된 시점까지 경제성장률을 보면 0.13% 성장률을 가졌다. 이런 결과로 학계에서는 정말 혁명적인 사건이었는지 의구심을 가진 학자들도 많다. 그 이유에 대한 내용을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정리를 하고 있다. 산업혁명에 대해서 정확한 소득 자료를 갖고 있지 않고 있다. 때문에 경제성장의 속도는 수량적으로 추정할 수.. 2023. 3. 30.
산업혁명이후 변화된 사회 결과 와 의의 산업혁명은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와 경제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변곡점이리라고 말할 수 있다. 기술의 혁신과 진보, 사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농업 사회에서 공업 사회로 산업을 바꿔 놓았고, 노동시장이라는 시장을 만들었다. 그리고 오늘날 얘기하는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영국의 산업혁명은 산업, 경제, 역사, 정치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국의 산업혁명이 오늘날 관점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겠다. 1. 산업혁명이후 변화된 사회 1차 산업혁명은 증기기관의 발명과 증기기관이 적용된 자동화 방적기의 발명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 냈다. 사회적인 변화 관점 :시장의 출현:과거에는 중세의 관습, 규율에 따라 재화와 노동의 거래가 되었다. 그러나 산.. 2023. 3. 30.
중세시대 유럽의 경제상황. 경제학의 시작과 발전 '국부론' 발간 경제이론은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였다. 때문에 경제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경제이론이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과 특징을 고려하면서 이해하는 것이 좋다. 산업혁명 이전 중세시대에는 사회적 지위는 군사력이었다. 이후 가톨릭 교회와 법률체계, 상인계급의 부상은 군사력이 사회적 지위가 되었던 폭력과 전쟁의 시대를 무력화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번에 시간에는 중세시대 유럽의 시장경제 와 역사적 배경 경제학의 시작과 발전에 대해 설명하겠다. 중세시대 유럽의 경제상황 중세시대의 유럽경제:유럽 북쪽에 천연자원도 풍부하지 않고 늪지대에 불과했던 플랑드르 지역이 있었다. 이곳은 상업이 발달된 곳으로 이곳의 GDP(국내총생산)는 프랑스 보다 20% 높고, 영국보다 25% 높은 직물 생산지로써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이었다.. 2023.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