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경제학 학문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발생된 까닭은 무엇일까?

by Stive Jo 2023. 3. 31.
반응형

배경

유럽은 14세기 와 15세기에 급성 열성 전염병 '흑사병'이 유행했다. 흑사병은 당시 유럽인구의 60%가 감염되고 사망률은 50%에 이르렀다. 이때 영국에서도 많은 인구가 감소하였다. 인구 감소는 넓은 경작지가 목초지로 바뀌었고 버려진 토지가 되었다. 영국인들은 버려진 토지에서 양들을 키우기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목초를 먹으며 생활한 양들은 영양상태가 좋았기 때문에 양털이 풍성하게 자라는 장모종 양이 출현하게 되었다. 장모종은 신 직물인 소모사(굵기가 일정하고 매끈하며 보풀이 적으면서 광택이 나도록 양모로 만든 실)를 만들기에 적합했다. 또 시대적으로 영국은 원료 수출을 금지하고 완제품으로 수출하는 것을 장려하였다.'중상주의 정책 (mercantilism)' 이렇게 영국은 자연재해와 정부의 중상주의 정책에 힘입어 모직물 산업이 성장하게 되었다.

1. 영국의 런던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전하였다.

영국은 런던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런던의 도시노동자의 1/4 정도가 해운업과 수출업에 종사하였다. 18세기 이때 영국은 식민지와의 교역뿐만 아니라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와의 교역이 확대되면서 런던은 빠르게 성장하였다.

도시의 성장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농업생산성 향상에 계기가 되었다. 도시와 농촌 간의 소득격차가 발생되면서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였다. 인구의 이동은 농촌인구의 감소로 이어졌다. 그 결과 농민이 경작하는 토지의 규모가 커지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농촌의 대규모 경작은 생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도시의 인구 증가는 임금의 상승에 영향을 주었다. 도시의 인구 증가는 도시에 사는 사람의 식량수요에도 영향을 주었고 산업 전반에 걸쳐 분업화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의 공장에 생산제품도 생산성이 늘면서 임금도 높아졌다. 변화된 런던은 17세기 중반이 되면서 삶의 질이 높아졌고 임금 수준도 높은 도시가 되었다. 도시의 인구 증가는 연료가격을 내려주는 영향을 주었다. 이전의 영국은 목탄을 연료로 사용하였다. 도시인구 증가는 목탄 수요 증가로 이어져 가격이 급등하였다. 가격이 높아진 목탄을 대체하기 위해 석탄 수요가 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석탄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석탄생산이 늘면서 목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석탄사용은 자연스럽게 연료 가격을 내려주었다. 도시의 성장은 주택의 수요를 증가시켜 주었고 석탄을 땔 수 있는 주택구조도 만들어졌다 근거로 17세기에 석탄의 생산량은 300만 톤에서 18세기에는 1500만 톤으로 생산량이 늘었다. 생산량의 증가는 가격을 낮춰주는 효과를 주었다.

2. 영국 런던의 도시의 변화는 기술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나?

발명은 영감을 통해 실제 물건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돈과 노력이 필요하다. 아이디어가 제품으로 만들어지려면 제품이 완성 후 얼마만큼 이익으로 돌아올지에 따라서 돈이 투자될 것이다. 영국은 도시의 발전으로 임금이 높은 수준까지 올라있는 상태였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디어를 상품으로 개발해도 수익이 높을 것이라고 판단을 했기 때문에 산업혁명의 발전을 가져온 증기기관, 자동방적기, 코크스제련 등에 투자를 할 수 있었다. 위의 세 가지 발명은 노동집약적, 자본집약적, 에너지 집약적 요소가 들어있는 제품이었다. 이처럼 영국은 노동집약적 산업에 기술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그 당시 사회적 현상 높은 임금과 에너지 원료의 낮은 가격은 산업기계의 발명은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발명가들은 신규제품기술에 투자할 수 있었다. 이러한 대발명은 소발명의 발전을 가져왔다. 소발명의 발전은 기술의 효율성을 높였고 노동노동집약적 기술이 발전하는 나라가 되었다. 반면 다른 나라는 개발을 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위의 조건이 맞지 않았기 때문에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개발하지 않았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