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학 학문21 기업의 체감경기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 들- 생산자 물가지수. 소비자 물가지수 Ⅰ. 생산자물가지수 (PPI: Producer Price Index) 의의와 내용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의 가격 수준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산업재산화 및 기업 운영에 조직적으로 반영되는 요소들과 그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산업계에서 이들 요소에 대한 변동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운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지수이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들이 재료, 부품, 인건비 등 생산자에 사용되는 자원의 가격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그동안 기업이 부담해 온 인상된 직원 임금, 에너지, 원자재 등으로 인한 비용증대의 방향을 예고한다. PPI를 이용하여 기업들은 생산성을 향상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방안을 찾을 수 있으며 또한 높아진 원자재 비용을 고려하여 가격을 조정하는 등 경제적 전략을 찾을 수 있다. .. 2023. 5. 24. 공리주의는 무엇인가? 제레미 벤담. 존 스튜어트 밀 공리주의는 경제적인 형평석과 공정성을 추구하는 정치 철학으로 이념 철학의 하나입니다. 이 철학은 개인적인 이익보다는 그러한 이익을 비롯하여 사회 전체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 부의 균등 분배와 재분배, 사회복지, 교육 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범주인 빈부격차를 해소하고 사회의 과반수 이상이 공동으로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공리주의는 대개 국가의 규모가 커질수록 더욱 강조되었다. 중앙 집중적인 국가에서 이념적으로 가치관이 분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경제 및 사회적 부채의 균등한 배분이 필수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세금을 이용한 재분배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공립 교육제도 사회복장제도 그리고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노동법제도 또한 이념적인 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 2023. 5. 7. (거시경제학)경제안정화 정책,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경기 안정화 정책에서 경기과열방지는 정부가 시중에 많이 풀린 돈을 거둬들이는 것이다. 반대로 경기가 하향세로 돌아서서 경기침체기가 접어들면 정부에서는 경기하락으로 국민들의 소비심리를 위축시키지 않기 위해서 경기연착륙(소프트랜딩) 방식으로 돈을 시중에 풀게 된다. 이때 시중에 자금을 공급해 주는 주체는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이다. 기획재정부에서 펼치는 정책은 재정 정책이라고 한다. 만약 경기가 침체가 되면 ⓐ세율을 낮춘다. 세율은 소비세와 소득세로 나뉜다. 소비세를 낮추면 물가가 내려가게 되고 수요가 증가된다. 소득세[가처분 소득=소득-세금(소득세)-금융비용(금융이자)]는 금융이자를 낮추게 되어 가처분소득 증가로 이어지고 수요가 증가되는 정책이다. 소득세의 경우 국민대다수에 해당이 되지 않는다. 즉 소득세는.. 2023. 4. 17. (거시경제학) 국가의 경제정책 경제학의 출발은 아담스미스 국부론부터 시작되었다. 아담스미스는 시장이 모든 것을 해결한다고 하였지만 현실적으로는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많다. 첫째 빈부격차가 심각해졌다. 두 번째는 경기는 순환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경기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성장하고 있다. 세 번째는 시장에서는 공공재(도로, 항만)를 만들지 못한다. 네 번째는 독과점 문제도 발생한다. 다섯 번째는 외부효과는 경제적 활동이 제삼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편익이나 비용을 발생시키면서 그에 대한 대가가 지불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이때 이득을 보는것을 외부경제 라고 한다. 예를 들면 주변에 학원이 생기면 편의점이나 떡볶이 집이 잘되는 것은 외부경제이고( 더불어 잘되는 효과), 외부 불경제는 운전을 하고 가면 매연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2023. 4. 16.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