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is referred to as ' Wealth of Nations' 영국의 학자 애덤 스미스가 영국의 공작 아들을 개인 과외하며 유럽 각지를 여행하고 1766년~1776년까지 10년간 커콜디에 위치한 자신의 서재에 파묻혀 지내며 쓴 책이다. 애덤 스미스는 철학자였으나 여행하는 기간 동안 경제학에 대한 관심과 식견을 가지게 되었다. 당시 유럽의 주요 국가의 상황을 살펴보면, 프랑스는 토지를 바탕으로 하는 중농주의를 채택하였고, 스페인은 신대륙 발견으로 식민지, 식민지로부터 빼앗은 금, 은 과 같은 보석을 무역하는 중상주의였다. 그리고 유럽에서 작은 나라로 이름이 없었던 영국은 산업혁명을 통하여 세계적인 부국으로 등극하였다. 당시의 학자들은 영국이 부국으로 된 상황을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었다.
애담 스미스 '국부론'
"한 국가에서 일년동안 노동한 것은 일 년 동안 그 국가에서 소비하는 필요나 편의의 원천이다. 그것들은 노동을 통해 직접 생산하거나, 다른 나라에서 생산한 것을 무역을 통해 조달한다." 생산물이 충분하거나 모자라거나 하는 것은 그 나라가 부자이거나 가난한 것이다. 부유하기 위해서는 기술 기능 판단이 적절한지 와 생산인구 대비 비생산 인구의 비율에 따라 판가름된다. 생산 인구는 최대로 늘려야 하고 비생산 인구의 비율은 최소화해야 한다. 즉, 비 생산인구는 정부의 행정인원을 말하는데 행정인원을 최소 인원으로 하고 최대의 서비스를 창출해야 한다. 이것이 국가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애담 스미스가 강조한 것은 노동력을 많이 투입하여 생산공정을 분업화한다면 많은 생산량을 증가시켜 부를 증대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노동"이다. 책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업이 생기는 원리 와 결과
ⓐ분업 : 핀공장을 관찰해보니 비숙련자 10명이 분업을 하면 하루 48,000개의 핀을 생산하는데, 그렇지 않고 각각 만들면 숙련자라도 하루에 20개를 못 만든다. 분업의 차이는 240배의 생산량의 차이가 난다. 문명사회에서는 단순한 물건 하나도 수없이 많은 노동자를 분업화하여 이루어진 결과물이다. 결국 우리는 여러 명의 도움과 협업으로 편의를 누리며 사는 셈이다. ⓑ분업이 생기는 원리 : 우리가 오늘 저녁식사를 할수 있는 것은 푸줏간, 양조장, 빵집 사장의 자비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그들의 이익에 신경을 쓴 덕분이다.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을 신의 영역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기심'은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다. 인간은 본성에 충실하게 '이기심'에 따라 움직인다. 이기심은 자신을 위하는 마음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마음이 곧 '이기심'이다. 분업은 그들이 그들의 이익에 신경을 쓴 덕분이다. ⓒ분업은 시장의 크기에 따른다 : 분업은 남은것을 줄곳이 없고 모자라는 것을 받을 곳이 없으면 분업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즉 시장이 작으면 분업의 효과는 없다. 그래서 교역이 용이한 바다가 잔잔하여 해상운송이 발달한 지중해 연안과 구석구석 뻗은 긴 간을 통해 내륙 깊숙이 왕래할 수 있었던 이집트, 인도, 중국에서 인류문명이 발생했다. ⓓ돈이 사용되는 원리 : 분업이 완전하게 자리잡게 되면 어떤 사람이 자신의 노동으로 생산 사는 것은 그에게 필요한 물건 중 극히 일부분 일수밖에 없다. 나머지는 내가 필요한 것 외에 남은 내 생산물을 다른 사람의 노동생산물과 바꿔서 각기 다른 필요를 충당하게 된다. 즉, 분업은 서로 교환을 통해서 필요한것을 얻게 되는 것이다. 교환으로만 필요한 것을 얻으려면 내가 필요한 것을 가지고 있는 상대를 만나야 한다. 또한 상대방도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을 필요로 해야만 한다. 서로에게 필요한 물건을 만나기는 어렵다. 이러한 불편을 줄이려면 모두가 필요로 하는 물건으로 바꿔 놓으면 된다. 그것이 돈이다. 재화는 실질 화폐가 되는것이고, 돈은 명목 화폐가 되는것이다.
'경제학 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부론)독점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 노동자 자본가 토지주의 특성 (0) | 2023.04.03 |
---|---|
(국부론)실질가격. 명목가격. 자연가격. 시장가격. 노동임금 (0) | 2023.04.02 |
(국부론)시대적인 상황. 용어설명 (0) | 2023.04.01 |
영국 산업혁명의 경제학적 관점. 비경제적 관점 (0) | 2023.03.31 |
산업혁명이 영국에서 발생된 까닭은 무엇일까?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