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사회 상태에서는 재고가 필요 없다. 분업이 재고를 만들게 된다. 재고의 축적은 분업에 앞서 이루어지며, 재고가 미리 더 많이 축적되면 될수록 그것에 비례해서 분업은 더욱 세분화된다.
재고의 분할
한 노동자가 가지고 있는 재고가 한 달간 생활하는 데 충분한 양이라고 하면, 이 노동자는 재고를 수입을 창출하는 데 사용하려 하지 않고 한 달간 생활할 것으로만 생각하며 사용할 것이다. 그리고 소비한 재고는 노동을 해서 채워 넣으려고 할 것이다. 이것이 아담스미스가 언급하는 노동빈민이다. 그러나 노동자가 재고가 10달 동안 생활하는데 충분한 양이라고 하면 이 노동자는 한 달 치 생활하는 재고를 보유하고 나머지는 남은 재고로 수입을 가져다 줄곳을 찾을 것이다. 따라서 재고는 크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한 달간 생활하는 데 사용하는 재고는 소비를 목적으로 비축한 소비를 제공하는 부분이다. 두 번째, 한 달간 생활하는 데 사용하는 재고를 재외 한 나머지 9달 소비할 재고로 또 다른 수입 (이익)을 얻어내려고 기대하는 재고는 자본이다. 개인의 재고나 사회의 재고가 어떤 상이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지를 설명하였다.
개인의 재고 : 재고를 이용해서 이윤을 얻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상품을 생산하거나 유통을 하여 이윤을 얻는 방식을 유동자본이라 하며, 둘째는 생산에 필요한 기계 구매 또는 토지개발을 하여 건물을 짓는 행위는 제품의 생산과 임대료라는 이윤을 주는 것을 고정자본이라고 한다. 고정자본과 유동자본의 비율은 업종에 따라 다르다. 상인이 투자하는 자본은 유동자본이고 수공업자나 제조업자가 생산에 필요한 기계를 구입하는 것은 고정자본이다.
사회의 재고 : 사회의 총재고는 모든 주민 또는 구성원들의 재고를 합한 양을 말한다.. 개인의 재고와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한다. ⓐ직접적인 소비를 위해 보유되는 부분으로, 아무런 수입이나 이윤도 낳을 수 없다. 예를 들면) 매달 지출되는 생활비 목적이다. ⓑ고정자본으로 소유주를 바꾸지 않고 수입이나 이윤을 낳는다. 예를 들면) 건물임대료 ⓒ유동자본으로 유통하여 소유주를 바꿈으로써 수입을 가져다준다. 예를 들면) 화폐, 상품유통 등. 모든 고정자본은 유동자본에서 나오며 그것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직접적 소비를 위한 재고를 유지하고 증가시키는 것이 유일한 목표이다. 비교적 안전한 나라에서는 이윤을 얻기 위해 자기가 가지고 있는 모든 재고를 이용할 것이다. 반면에 안전하지 못한 나라에서는 재고를 숨기려고만 할 것이다. 재난을 당했을 경우 재고를 가지고 도망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자본은 사용 용도에 따라 이익이 달라진다.
이자를 받고 대부(화폐를 빌려주는 일)되는 재고는 대부자에게는 자본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이자를 받고 만기가 되면 재고를 회수될 것으로 기대한다. 차용자는 재고를 기업에 투자할 수도 있고 단순히 소비를 하기 위해 차용할 수도 있다. 소비를 하기 위해 차용한 사람은 이자뿐만 아니라 자본의 원금을 갚을 길이 없다. 이러한 경우 모두에게 해로운 것이다. 대부는 화폐로 대부하고 화폐로 돌려받기를 원한다. 왜냐하면 화폐가 아닌 생산된 제품으로 돌려받을 경우 직접 판매를 해서 화폐로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는 대부자에게 처음 빌려준 돈의 양과 매달 받는 이자를 돌려받는 조건으로 돈을 빌려준다. 하지만 기업에서 제품을 생산해서 판매를 했을 때 이윤이 감소하여 대부자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것은 기업가에게는 투기사업가가 될 것이고 소비를 위한 대부자는 낭비자가 될 것이다. 어떤 나라에서는 화폐에 대한 이자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나라가 있는데 이경우 화폐사용에 대한 대가의 지불이 없기 때문에 고리대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밖에 자본은 여러 용도로 사용이 된다. 그리고 사용용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동일한 양의 자본이 가동할 수 있는 생산적 노동의 양은 자본의 다양한 사용방식에 따라 매우 다르다. 또한 자본이 어디에 투입이 되는가에 따라 가치도 달라진다. 첫째, 그 사회의 해마다의 사용되는 소비를 위해 요구되는 생산물을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모든 사람들의 자본) 둘째, 생산물을 직접 소비하기 위해 가공하고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제조업자의 자본) 셋째, 생산물을 풍부한 지역에서 부족한 지역으로 운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도매업자의 자본) 넷째, 위의 상품을 각각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수요에 맞게 조금씩 사용될 수 있다.(소매상의 자본) 이윤은 자본가가 자본을 어디에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하는 유일한 동기이다. 유럽의 투자자는 가까이 있는 비옥한 토지의 경작지에 투자하기보다는 아시아와 아메리카의 원거리 무역에 자신들의 자본을 사용하는 것이 이익된다고 생각하여 무역에 투자하였다.
'경제학 학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부론)정치경제학 중상주의(Mercantilism)비판. 국내생산 제품을 외국에서 수입하는 것에 대한 규제 (0) | 2023.04.05 |
---|---|
(국부론)국부증진의 자연적인 진행과정. 로마제국의 멸망 후 유럽 (0) | 2023.04.05 |
(국부론)독점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 노동자 자본가 토지주의 특성 (0) | 2023.04.03 |
(국부론)실질가격. 명목가격. 자연가격. 시장가격. 노동임금 (0) | 2023.04.02 |
(국부론) 분업이 생기는 원리 와 결과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