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양국사이에 한국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양국이 신냉전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먼저 미국과 한국의 무역규모 와 중국과 한국의 무역규모를 알아보고 미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반도체법이 한국 반도체 기업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한국과 미국의 무역규모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총수출액은 약 5129억 달러 규모이다. 이중 미국으로 수출하는 수출액은 약 744억 달러이다. 또한 한국의 총수입액은 4784억 달러규모이다. 이중 미국에서 수입한 비중은 약 743억 달러이다. 따라서 미국은 한국 무역국으로서 매우 중요한 거래 상대국이다. 거래 품목으로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은 철강, 석유제품, 조선선박, 통신장비, 자동차 등의 산업에서 수출을 하고 있으며 반대로 미국에서 수입하는 하는 품목은 비행기, 반도체, 유가공업품, 기계장비 등을 수입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과 미국의 무역은 상당히 활발하였으나 2018년 미중 무역전쟁이루 전 세계적으로 무역부냉의 열기가 높아지면서 미국과 한국 간의 무역갈등도 높아졌다.
한국과 중국의 무역규모
한국과 중국은 서로 매우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다. 2020년 기준으로 한국과 중국의 무역규모는 약 2857억 달러이다. 이중 한국의 수출액은 1622억 달러 규모이며 이 중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약 274억 달러이다. 또한 한국의 총수입액은 1434억 달러이며 이중으로부터 수입한 중국의 비중은 약 2272억 달러이다. 한국은 중국으로 반도체 제품과 반제품을 수출을 하며 중국은 전자제품, 제조업 제품을 한국으로 수출을 한다. 지난 코로나19의 팬데믹 사태 때 중국공장 생산 중단과 무역중지가 발생된 기간 동안 한국기업은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켰었다. 그만큼 중국과의 무역은 파트너국가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의 신냉전 이유
미국과 중국 간의 "신냉전"은 다양한 형태의 대립관계에서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중 무역갈등, 기술유출 및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 인권과 민주주의 등 당양한 분야에서 두나라 간의 대립관계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중국의 다 담한 대외정책과 단호한 내정 모두를 거세게 비판하며 중국의 체제의 안전보장과 인권 및 민주주의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반면 중국은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려고 보이기 때문에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역전쟁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타이완 문제, 홍콩 국가보안법, 우이산 문제 등 다양한 인해 양국 간의 대립은 극도로 심화되고 있다. 현재의 상황이 지속될 경우 국제적인 안정과 경제발전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양국 간에는 협력과 상호 이해심을 바탕으로 더 나은길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국내.국외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대 생활업종. 철물점 집중 분석 (15) | 2023.05.14 |
---|---|
전기요금 인상과 요인. 산업과 가계에 미치는 영향, 대응책 (18) | 2023.05.07 |
미국의 반도체법 의의. 목적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 대응방안 (39) | 2023.05.04 |
한미정상회담 한국식확장억제 반도체법 (19) | 2023.04.29 |
일본경제정책 YCC, 금리 (17)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