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반응형

국내.국외 이슈13

소비자심리지수의 상승과 영향. 경기 동향. '23년을 맞으면서부터 주요 언론사뿐만 아니라 유튜브 개인 채널의 유명 경제학자들까지도 너나없이 경기 전망을 매우 좋지 않게 언급을 하고, 미국 경기뿐만 아니라 세계 경기까지도 거의 폐망 수준으로 언급을 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그러던 유명 경제전망을 점치던 유명 유튜버들은 최근 잠잠해지고 있다. 일전에 본 저자가 언급했듯이 한 나라의 경기는 언론플레이에 의해 경기가 하락할 수도 있고 결기가 상승할 수도 있다고 본다. 언론에 의해 경기가 급 하강 하게 되면 회복이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 진짜로 올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드리고 싶다. 경기는 상승할 수도, 또 하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진짜로 문제가 되는 것은 시장은 하락에 대해 대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급 하강을 하게 되면 그 국가의 경기는 대미지가 너무 크.. 2023. 6. 28.
김대중 정부 - 국민의 정부 김대중 정부는 (1998년~ 2003년) "국민의 정부"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다. 국가의 경제적인 문제가 노태우 정권을 깃점으로 김영삼 정부를 거쳐 김대중 정부에 이르러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전 국민의 필사적인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필사의 노력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었다. 그런데 여야 간의 정권교체가 최초로 이루어지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쟁의 병행발전, 남북한 화해와 협력, 생산적 복지를 주장한 김대중 정부 시기 때 불평등 양극황의 현상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민주화 이후 실시한 많은 사회경제정책들은 보수적이고 반 개혁적인 성향이 강했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심화시켜 민주주의의 기초이자 토양인 사회경제적 조건과 역량을 쇠퇴시킴으.. 2023. 6. 27.
전두환 정권 경제정책 전두환 정부 (1980 ~ 1988)는 군사정변으로 세워진 정부다. 때문에 오늘날까지 군부정권, 쿠데타, 독재자, 학살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두환 정권에 대해 여러 가지 할 얘기가 있지만 오늘은 경제정책과 당시 상황에 대해서만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전두환 정부시절 경제수석은 김재익(1938년~ 1983년 10월 9일)이라는 분이었다. 이분은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사망하여 국민들이 크게 마음 아파했던 분 중에 한 분이었다. 김재익 경제수석이 입안한 정책은 최근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었다. 금융실명제, 물가안정화 정책, 정보화 정책, OECD가입, 수입자유화 정책 등 그 당시 대한민국으로써는 꼭 필요한 정책이었다. 이와 별개로 전두환 정부는 박정희 정부에서 추진하였던 경제정책을 이어갔다. 수출주.. 2023. 6. 21.
일본에서 잘나가다 폭망한 기업- 1. 도시바 우리가 알고 있는 도시바(Toshiba)라는 이름은 "도쿄 시바우라"(Tokyo Shibaura)의 줄임말이다. 도시바는 1875년 다나카 히사시게가 다나카 제작소라는 상호명으로 최소 설립했다. 이후 1893년 미쓰이 그룹에 흡수되어 시바우라 제작소로 사명이 바뀌었다. 다나카 히사시게는 기계 발명에 관심을 가지고 시계, 기계를 만들어서 판매를 하면서 기술을 발전시켰다. 이후 일본 최초 전자시계를 개발하여 주목을 받았다. 다나카는 제작소를 운영하면서 많은 제자들을 두었는데 그중에서 1896년 일본 최초 백열전구를 생산하는 하쿠네쓰사를 설립했다. 1899년 회사명을 도쿄전기로 바꾼 후 1939년 시바우라 제작소와 하쿠네쓰사 양사는 합병을 하였다. 이후 사명을 '도쿄시바우라전기주식회사'를 상호로 하였다. 19.. 2023. 6.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