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투자 관련내용

재무재표 보는법, 용어정리 주요 포인트

by Stive Jo 2023. 5. 1.
반응형

재무제표 란?

재무제표는 기업의 과거를 알 수 있는 지표로써 기업의 과거 경영상태를 볼 수 있다. 재무제표자료로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재무제표의 활용은 회사의 건전성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로써 투자를 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믿어야 하는 자료가 아닌 참고할만한 수준의 자료로 보면 될 것 같다. 주식투자, 기업의 현금투자 등을 한다면 기본적인 재무제표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재무제표 항목

재무재표 기본 항목

 자산

자산에는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다. 유동자산은 1년 안에 현금으로 만들 수 있는 자산을 말한다. 유동자산에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매출채권, 재고자산으로 나뉜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보유현금 및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말한다. 매출채권은 물건을 팔아서 회수하는 돈을 말한다. 미수금은 결산당시 기준으로 기업이 못 받은 돈을 말한다. 이때 매출채권과 미수금의 차이는 매출채권은 사업과 관련된 외상대금이며 미수금은 사업외적인 외상대금이다. 재고자산은 판매하기 위해 준비한 상품이다. 비유동자산은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 비유동자산으로 나뉜다. 투자자산과 유형자산은 대표적인 것으로는 부동산이다. 사업상에 목적으로 쓰이면 유형자산에 포함되며 사업과 무관하게 시세차익을 노리기 위한 것이면 투자자산이 된다. 대표적인 것은 부동산으로써 회사의 사업목적( 회사 사옥, 공장, 영업소, 물류창고 등)으로 부동산을 매입하면 유형자산이 되며, 사업목적과 전혀 다른 아파트, 임야를 매입하게 된다면 투자자산이 된다. 무형자산은 형태가 없는 자산으로써 지식기반이 되는 자산으로 특허권, 영업권으로 보면 된다. 비유동자산은 전세보증금 월세보증금 등이 해당된다. 

부채

부채는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뉜다. 유동부채는 1년안에 갚아야 하는 돈이다. 비유동부채는 1년 후에 갚아야 하는 돈이다. 유동부채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등이다. 매입채무는 물건 매입 시 외상대금이다. 단기 차입금과 미지급금은 1년 이내 갚기로 하고 빌린 돈이 다. 단기차입금과 미지급금의 차이는 회사의 영업목적으로 빌린 돈이 라면 단기차입금에 속하고 영업외적인 목적이라면 미지급금에 포함된다. 비유동부채는 장기차입금과 사채, 임대보증금으로 나뉜다. 장기차입금은 1년 이상의 장기로 빌린 돈이며 임대보증금은 유형자산(부동산)에 세입자 보증금이다. 

자본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으로 나뉜다. 자본금은 회사의 자본금을 말한다. 자본잉여금은 주식가치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으로 벌어들인 수익금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장사가 상장 후 액면가 500원이 5000원이 되었을 때 발생되는 4,500원의 수익금이 자본잉여금이 된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영업 후 발생되는 이익금에서 주주들에게 배당 후 남은 금액이다. 이익잉여금은 매년 회사가 성장될수록 금액이 커지기 때문에 재무제표에서 가장 중요하 항목 중에 하나이다.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는 회사의 1년동안의 경영실적을 나타낸 도표이다. 항목으로는 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당기순이익으로 나타낸다. 매출액은 상품의 판매금액이다. 매출총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입액과 일반관리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한다. 영업이익은 영업 이익과 영업 외 이익을 합한 금액이다.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법인세를 뺀 값을 말한다. 이때 최종 이익을 당기 순이익이라 한다. 이 중에서 중요한 것은 영업이익이다. 매출이 100억원이고 영업이익이 50억이라면 상당히 이익구조가 좋은 상태이다. 반면 영업이익이 20억이라면 경쟁사와 경쟁구도에서 가격경쟁력을 잃게 되어 도태될 수도 있다. 또한 영업이익이 좋다는 것은 경쟁이 심하지 않다는 얘기도 되기 때문에 앞으로 크게 성장할 수는 없지만 기업의 지속적인 경영에 문제가 없는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주석

재무제표의 주석을 보면 회사가 타사를 위해 보증을 섰는데 어떤 담보를 얼마큼 제공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보증규모등을 확인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채무 부담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법인으로서 계약의 주체가 되어 여러 이해관계인들과 다양한 형태의 계약을 맺는데 이러한 사항을 약정사항으로 하여 주석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번시간은 재무재표의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가장 기초적이지만 재무제표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아서 기초지식으로 용어위주로 설명을 해보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