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반응형

전체 글88

한국경제 현안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지난 10월 미국의 반도체법 관련하여 모 신문사 기사 내용을 보았다. https://v.daum.net/v/20231009175802653 대통령실 “美, 삼성·SK 中 공장에 별도 허가 없이 반도체 장비 공급”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의 안개’가 걷히고 있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 장비 반입규제를 사실상 무기한 유예하기로 했다. 반도체 업계는 반색하는 분위기다. 최 v.daum.net 이 글의 주제로 코멘트 내용이 삼성, 하이닉스 환영이라는 내용이였다. 이 글을 읽으신 분들은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중국공장에 신규 투자되는곳에 미조건 미국 장비로 해야 한다는 내용에 매우 긍정적인 내용의 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정치는 잘 모릅니다. 그러나 경제적인 부분으로 들어가.. 2023. 12. 7.
소비자심리지수의 상승과 영향. 경기 동향. '23년을 맞으면서부터 주요 언론사뿐만 아니라 유튜브 개인 채널의 유명 경제학자들까지도 너나없이 경기 전망을 매우 좋지 않게 언급을 하고, 미국 경기뿐만 아니라 세계 경기까지도 거의 폐망 수준으로 언급을 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그러던 유명 경제전망을 점치던 유명 유튜버들은 최근 잠잠해지고 있다. 일전에 본 저자가 언급했듯이 한 나라의 경기는 언론플레이에 의해 경기가 하락할 수도 있고 결기가 상승할 수도 있다고 본다. 언론에 의해 경기가 급 하강 하게 되면 회복이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 진짜로 올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드리고 싶다. 경기는 상승할 수도, 또 하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진짜로 문제가 되는 것은 시장은 하락에 대해 대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급 하강을 하게 되면 그 국가의 경기는 대미지가 너무 크.. 2023. 6. 28.
노무현 정부 경제정책 노무현 정부(2003~2008년)는 16대 대통령으로 경제성장과 균형을 추구하는 정책을 펼쳤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산업에 투자하였다. IT산업 육성 과 전자정부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디지털 경제 발전을 추진했다. 전자정부 시스템 도입: 전자정부 시스템을 도입하여 정부의 업무를 디지털화 하고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행정을 실현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간 연동과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 시켰다. 국가 정보화 기본법 재정: 국가 정보화 기본법을 제정하여 디지털 경제발전의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 통신 산업의 활성화와 디지털 기술의 보급을 촉진 하였다. 정보통신산업 육성: 정보통신산업을 중요한 성장동력 산업으로 삼고 이를 .. 2023. 6. 27.
김대중 정부 - 국민의 정부 김대중 정부는 (1998년~ 2003년) "국민의 정부"라는 명칭으로 시작되었다. 국가의 경제적인 문제가 노태우 정권을 깃점으로 김영삼 정부를 거쳐 김대중 정부에 이르러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전 국민의 필사적인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필사의 노력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었다. 그런데 여야 간의 정권교체가 최초로 이루어지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쟁의 병행발전, 남북한 화해와 협력, 생산적 복지를 주장한 김대중 정부 시기 때 불평등 양극황의 현상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민주화 이후 실시한 많은 사회경제정책들은 보수적이고 반 개혁적인 성향이 강했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심화시켜 민주주의의 기초이자 토양인 사회경제적 조건과 역량을 쇠퇴시킴으.. 2023.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