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ECONOMIC
기타

세계의 철물점 상점을 가다-영국의 철물점 B&Q

by Stive Jo 2023. 6. 2.
반응형

비앤큐(B&Q)는 1969년에 설립되어 33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영국 기업이다. 비앤큐(B&Q)는 리차드 블록(Richard Block)과 데이비드 퀘일(David Quay)에 의해 창립되었다. 회사명은 창립자의 이름을 딴 '블록엔 퀘일(Block & Quay)이란 상호로 시작했으나 이후 비앤큐(B&Q)란 약칭으로 통칭 되었다. 1979년 약 26개의 점포를 가졌던 비앤큐는 1982년 창립자가 현업에서 물러난 후 공격적인 M&A를 통해 1980년대 이후 사세를 확장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비앤큐가 사들였던 다지시티(Dodge City)라는 스코트랜드 회사가 울워스컴퍼니(Woolworth Company)에 인수 되면서 현재의 킹피셔 그룹의 산하로 되었다. 이후 1990년대를 기점으로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 했다. 1995년 대만을 시작으로 1998년 폴란드, 1999년 상해, 2007년 홍콩에 체인점을 통해 영업망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성장하여 2000년까지 영국 본토에 50개의 대형창고형 매장을 확보하고 2007년에는 331개 매장으로 늘었다. 직원 수 는 3만9000명으로 유통거인으로 성장하였다. 해외 진출국 중에 한국은 2005년에 서울 구로구 구로동 롯데마트 1층 약 2300평 규모에 한국 1호점을 오픈하였다. 판매상품은 셀프 인테리어에 필요한 용품류 들이었다. 그 당시에만 해도 한국은 셀프 인테리어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였기에 매출이 저조했다. 이후 2007년에 매장 철수를 결정했다.  

한국 사업을 철수한 배경과 문제점

1. 시장조건

  • 한국시장에서의 경쟁은 치열하였고 인테리어 및 건축 시장에 경쟁사들이 존재하였다.
  • 한국 소비자들의 소핑 습관이나 선호도가 다른 문화적 요인들로 인해 외국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서 성공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2. 경쟁력 및 브랜드 인지도

  • 비앤큐코리아는 한국 시장에 진출할 때 한국 현지에 알려진 브랜드가 아니였다.
  • 한국 현지인들에게는 경쟁사들과 비교했을때 비앤큐코리아의 브랜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여려가지 경쟁력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을 겪은것으로 보였다.

3. 운영 비용과 수익성

  • 한국의 임대료, 인건비, 운영 비용 등이 높았고 경쟁사들과의 가격 경쟁이 치열하여 수익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4. 문화적 차이와 소비자 선호도

  • 한국의 소비자들은 그 시기에는 셀프인테리어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 외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 맞춤화된 제품 및 서비스, 선호도 등을 제공하지 못하였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려웠던 점도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경영 마인드와 영업전략

여성을 타깃으로 공격적 캠페인을 전개하다 

비앤큐는 DIY란 업종의 본질에 맞춰 'You Can do it When you B&Q it ?'이란 슬로건을 오랜기간동안 활용해 왔으며 가격경쟁력에서 뒤쳐졌던 비앤큐는 더욱더 공격적인 캠페인을 전개 하였다. [ 직원들이 상황별 고객에게 응대하는 것을 옴니버스테스티모니얼(사용후 증언 하는 방식/ 지금의 후기발표 형식)형식으로 여성을 타깃으로 만든 캠페인 형식의 광고 ] 

모방의 달인 비앤큐

비앤큐는 미국으 홈디포와 공통점들이 있다. 첫째 정사각형의 오랜지 컬러 CI를 적용하였다. 둘째, 비앤큐의 브랜드 슬로건 ' You Can do it, When you B&Q it ' 을 비슷하게 하였다. 셋째, 홈페이지 구성이 매우 비슷하다. 이 모든것은 동종업계의 선두인 홈디포를 지속적으로 벤치마킨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추론해 본다.

존경받는 인사.고용 정책

자사의 임직원을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홍보 대사로 적극 활용하고 비앤큐는 실제로 임직원들에게 모든 제품을 20% 할인된 가격에 살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실직적인 인사 복리 정책에 힘입어 비앤큐는 2007년 이후 업계 인사(HR)관련 최고 권위 기관인 ' the Gallup Organization forits HR policies and employee engagement programmes'로 부터 두번이나 'Gallup Great Workplace Award'를 수상한 것은 물론 타기관으로부터도  수상을 했다. 매년 저임금과 불평등 고용착취와 같은 인사(HR)문제로 도마에 오르고 있는 월마트나 맥도날드와 같은 미국계 기업과 대조를 이루는 모습이다.

 

 

 

 

반응형

댓글